ABOUT ME

부동산 데이터와 용어 정의를 기반으로 부동산을 '제대로'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 '부동산 분석의 길라잡이'

Today
Yesterday
Total
  • 2-1편) 등기부등본 - 대지권지분 계산하는 방법
    부동산 용어 2023. 12. 27. 14:32

     

    안녕하세요. 

    지난번 등기부등본 보는 방법에 대한 글을 올린 후로, 관련 내용 중 대지권지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이 계셔서 추가적으로 예시를 적어드릴까 합니다. 

     

    구분건물(아파트, 다세대 등)의 경우에 [표제부]는 (전유부분의 건물의 표시)와 (대지권의 표시) 부분이 있고, 바로 이 (대지권의 표시) 부분에 대지권비율이 나옵니다. 

     

    대지권은 구분소유자가 전유부분(건물부분)을 소유하기 위해 1동의 건물이 소재하는 대지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를 말합니다. 아래의 예시를 참조해 주세요. 

     

    대지권의 비율은 443.6분의 22.96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는 위에 대지권의 목적인 토지의 표시에 나오는 해당 토지 면적에 대하여 적용하는 비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대지권의 목적인 토지의 면적 443.6에 대하여 443.6분의 22.96 비율을 적용한다는 의미입니다. (산식은 443.6 * 22.96 / 443.6) 결과적으로 대지권 면적은 22.96㎡입니다. 

    어렵지 않으시죠? 

     

    통상은 토지면적과 대지권비율상의 분모에 해당하는 면적이 같은 경우가 많아서 습관적으로 계산없이 분자 부분만을 읽고, 대지권면적으로 오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 대지권비율상의 분모에 해당하는 숫자가 대지권의 목적인 토지의 면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반드시 정석대로 계산 검토를 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특히, 대지권의 목적인 토지가 여러 필지 인 경우 조심하셔야 합니다. 

     

     

    위의 등기사항전부증명서(등기부)와 같이 2개 이상의 토지 위에 하나의 건물이 있는 경우, 대지권의 목적인 토지의 표시에는 1,2번 순서로 번호가 있고, 대상이 되는 토지의 목록과 면적이 나옵니다. 

    이때, 대지권의 표시 내용 중 대지권종류 부분을 보시면 1,2 소유권대지권이라고 해당되는 토지의 번호가 나옵니다. 이 번호 또한 눈여겨보셔야 합니다. 간혹 대지권의 목적인 토지의 표시상에는 3번까지 토지가 있는데 대지권의 표시에 나오는 대지권의 종류는 1,2까지만 해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해당 번호의 대상이 되는 토지의 면적만을 고려해야 하니 조심하세요. 예시는 1,2번 토지 모두 해당하니 대지권의 목적인 토지의 전체 면적은 119㎡ + 248.6 ㎡입니다. 

    결과적으로 대지권 면적은 (119+248.6) * 1.62 / 367.6으로서 1.62 ㎡에 해당합니다. 

     

    대지권면적 계산하는 것 느낌이 오시나요? 

    구분건물의 등기부를 눈여겨 보시면서, 해당 표기 법 및 계산에 익숙해지시기를 바랍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tip)지난번 글에서 언급 드렸듯이 물적사항에 대한 확인은 집합건축물대장 및 토지대장을 확인하는게 우선입니다. 따라서, 상기의 면적이 토지대장과 집합건축물대장의 면적과 일치하는지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